학교 등에 많이 설치된 온수난방 시설이다. 복도에 세워져 있다. 온수를 방열기 및 대류방열기 등에 순환을 시켜서 난방을 한다. 온수낭방에는 고온수식과 저온수식이 있다. 고온수식은 밀폐형이고, 저온수식은 개방형이다. 온수순환방법에 따라 중력순환식과 강제순환식이 있다. 중력순환식은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설계가 되고, 강제순환식은 진공펌프를 활용한다. 팽창탱크가 필히 설치되는데, 유체의 갑작스런 압력상승으로 배관이 파열될 위험을 방지하고자 충격을 흡수하는 탱크다. 물탱크는 물을 담듯, 충격을 담는 탱크가 팽창탱크다. 충격을 받을 경우 팽창하면서 그것을 흡수하는 탱크다.
복사난방은 가정집에 주로 활용한다. 바닥패널, 벽패널, 천장패널에 설치한다. 배관매립으로 수리는 어렵지만, 실내온도가 균일하게 이뤄지는 최적의 난방 시스템이다. 외부온도의 영향을 제일 많이 받는다. 또한 실내의 평균온도는 낮다. 지역난방은 광범위한 지역을 몇개의 열원으로 나눠서 난방하는 것이다. 전기난방은 전열을 열원으로 한다.
난방기계에는 주형방열기가 있다. 주형방열기는 2주형, 3주형, 3세주형, 5세주형이 있다. 2주형은 기둥이 둘이란 뜻으로 가운데 구멍이 뻥 뚫려서 구멍이 둘이다. 3세주형은 가운데 구멍이 2개 뚫려서 기둥이 3개로 되어 있다. 5세주형은 구멍이 4개가 뚫려서 기둥이 5개로 되어 있다. 길드형 방열기는 1m 주철제 파이프가 길게 되어 있고 금속 핀을 부착한 난방기다.
방열기 표준 방열량은 전기 방열기는 650kcal/㎡hr, 온수방열기는 450kcal/㎡h이다.
– 전기 방열기: 650kcal/㎡hr
– 온수 방열기: 450kcal/㎡h
전기가 200 정도 높다.
개별식 급탕법에는 즉시 탕빙기(순간온수기), 저탕형 탕빙기, 지수혼합기 등이 있다. 주로 소형이다. 중앙급탕법은 직접가열급탕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