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의사항 ***
해당 내용은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해서 이해하길 바랍니다.
[서울교육방송 장창훈 기자]=헬라어에서 알파벳이 나왔다. 한자로 人에서 시웃, 口에서 미음, 己에서 리을, 一에서 ‘으’가 나왔다. 그처럼, 헬라어에서 알파벳이 나왔다. 대문자와 소문자가 비슷하고, 헬라어 알파벳은 24자다. 17개 자음과 7개 모음이다. 우리는 ‘영어 알파벳’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러므로, 헬라어를 보면서, 영어 알파벳으로 치환만 하면 쉽게 익힐 수 있다. 헬라어를 읽을 때는 ‘영어 알파벳’으로 치환해서, ‘영어 알파벳’이 발음기호 역할을 하면서 읽으면 된다.
읽는 것이 목적이므로, α(알파)는 a(에이)와 같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모든 글자가 그렇고, 영어 알파벳에 없는 몇 개의 글자가 있는데, 그것만 정확히 인지하면, 헬라어 알파벳은 우리가 모두 알고 있다. 그러므로, 헬라어의 단어는 알파벳을 읽듯이 읽고, 쓸 수 있다.
대문자는 빼고, 소문자만 먼저 익히는 것이 좋다.
거듭 말하지만, 헬라어를 영어 알파벳으로 치환하는 것을 익혀야한다. 그래야 읽을 수 있다. 헬라어를 보면서, 영어의 알파벳의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면 된다. 영어 알파벳은 아들, 헬라어는 아버지다. 그래서, 영어 알파벳과 헬라어 알파벳은 닮아있다. 조금만 신경쓰면, 금방 익힌다.
α : a
β : b
γ : g
δ : d
ε : e
ζ : z
η : h
θ : (th)
ι : i
κ : k
λ : l
μ : m
ν : n
ξ : ks
ο : o
π : p
ρ : r
σ : s
τ : t
υ : y
φ : f
χ : x
ψ : (ps)
ω : w
24개 글자 중에서 헬라어를 통해 영어 알파벳을 금방 연상할 수 있는 것은 14개다. θ는 영어 발음기호에 나온다. 14개 설명은 생략한다.
α : a
β : b
δ : d
ε : e
η : h
θ : (th)
ι : i
κ : k
ο : o
τ : t
υ : y (밑에 삐침이 있고, 없음)
φ : f
χ : x
ω : w
나머지 10개는 아래와 같다.
1) γ : g
γ(감마)는 “r”처럼 생겼지만, 아니다. γ의 앞부분에 동그라미를 그리면, g가 된다. γ을 보면, 앞에 0을 붙여서, g를 연상하면 된다.
2) ζ : z
이 글자는 z의 흘림체다.
3) λ : l
λ(람다)는 한문으로 들어갈 립(入)과 같다. 이것은 l(엘)이다. λ를 필기체 l로 연상하면, 같다.
4) μ : m
μ(뮈)는 공업수학에 자주 등장하는 기호인데, M을 찌그러뜨린 것이다. 그러므로, μ는 반듯하게 펴면, M이다.
5) ν : n
ν(뉘)는 v처럼 생겼지만, 전혀 아니다. 헤깔리면 안된다. 가장 헤깔리는 글자인데, N에서 왼쪽을 뺀 것이다. 그러므로, ν에서 좌측에 선을 그어서 N을 연상해야한다.
6) ξ : ks
이것은 영어 알파벳에 없는 글자다. xs(크스)의 발음이 난다.
7) π : p
이것은 원주율 π와 같다. p다.
8) ρ : r
이 글자는 p처럼 생겼지만, R을 연상해야한다. R에서 오른쪽 다리가 없으면 ρ이다. 그래서, ρ에다가 오른쪽 다리를 그어서 ‘R’을 떠올려야한다.
9) σ : s
σ(시그마)는 공업수학에 자주 나오는 기호다. σ은 ς으로 변형하는데, s와 같다.
10) ψ : (ps)
ψ은 φ(f)에서 위가 터졌다.
Ιησούς [ihsoys] 히브리어 예수아(ישוע)를 음역해서 그대로 옮겼다. 발음을 소리값으로 표기한 것이 Ιησούς이다.
Χριστός [xrist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