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방송 정치뉴스]=박광서 경기도의회 도의원(교육위원회 소속)이 이재정 교육감과 경기교육청을 상대로 일침을 가했다. 의회를 무시하는 경기교육청의 복지부동(伏地不動) 교육공무원들을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국정감사에 준하는 지방의회의 행정감사에 거짓보고 서류를 제출하거나, 지적을 받고도 앞에서는 “예예예”하면서, 현장에서는 일절 시정이 없는 경기교육청의 행정 불감증을 비판했다. 반면, 박광서 도의원은 “경기도청 공무원들은 의회 의원들의 지적을 수긍하는데, 경기교육청 교육공무원들은 교육감 눈치보기에 급급하다”면서 비교비판까지 했다. 교육위원의 이러한 비판은 경기교육청의 현재 행정에 상당히 문제점이 있다는 ‘적신호’로 분석된다.
경기도의회는 경기도 전체 행정에 대한 감시와 비판의 의무가 있고, 특히 교육위원회 소속 도의원은 경기교육청의 교육행정에 대한 최우선의 책임과 감시 임무가 있다. 박광서 도의원의 비판은 이재정 교육감의 현재 업무의 단면을 말하는 것일 수도 있다. 쓴 소리는 ‘양약고어구’(良藥苦於口)의 고사성어처럼 ‘부실한 교육행정’의 치료제가 될 수도 있는데, 듣고도 흘려버리면 약을 먹지 않는 것과 같다. 박광서 도의원은 교육청의 안하무인식 태도를 질타한 것이다.
경기도의회 교육위원회 박광서 의원(새누리,광주1)은 12월 16일 본회의 5분발언을 통해 경기교육청의 불통행정을 질타했다. 박광서 의원은 행정사무감사나 본예산 및 조례안 심의 등 교육위원들의 계속되는 지적사항과 제안에도 불구하고, 경기교육청은 전혀 변하지 않고, 오로지 과도한 교육감 눈치보기와 업무관행대로만 일을 하려는 조직문화, ‘이 때만 넘기고 보자’는 임기응변식 불통행정을 강하게 비판했다.
박광서 의원은 “경기도민의 열린 소리를 늘 현장에서 들을 수 밖에 없는 의원에게 경기도청 공무원들은 열린 자세로 조언과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는 반면, 경기교육청 공무원들은 ‘의원을 민원인 대하듯’ 하는 무책임한 답변과 심지어 거짓보고로 난감했던 때가 한두번이 아니었다”고 토로했다.
또한, 박광서 의원은 “도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와 예산안 심의, 그리고 조례안 심의를 마치며 드는 생각은 도교육청이 기본적으로 의회를 마치 자신들을 위한 ‘거수기 정도로’ 생각하고, 대처한다는 의구심을 떨칠 수가 없었다”면서, “도민을 대표하여 의원에게는 정당한 자료요구권이 있고, 이를 토대로 도청과 도교육청이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과 행정행위에 대해 견제와 감시, 더 나아가 대안을 제시하는 것도 의원의 역할이자 사명인데, 의원의 지적사항이 공허한 메아리로 생각하는 경기도교육청 관계자의 진심어린 변화를 촉구한다”고 당부했다.